Quantcast
Channel: IT동아 | 강의
Viewing all articles
Browse latest Browse all 1473

[스마트폰 활용하기] 내가 찍은 사진에 GPS 정보 기록하는 법

$
0
0

[IT동아 남시현 기자] 미국의 GPS나 러시아 글로나스(GLONASS)는 지구 궤도 내 배치된 여러 개의 인공위성 신호를 수신한 다음,삼변측량해 단말기 위치를 파악하는 위성항법 시스템이다. 항법, 측량, 지도 제작, 실시간 위치 안내 같은 서비스에 사용되지만, 스마트폰의위치 기반 서비스로 응용해 더 널리 쓰이고 있다. 보통은 앱 기능에 포함돼 내비게이션이나 주변 식당 탐색, 물품이나 차량 위치 등을 안내하는데 쓰이지만, 위치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.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사진에 촬영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다.

안드로이드 폰 사진에 위치 정보 기록하기

스마트폰과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이미지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물밑 정보를 함께 포함한다. 이를 메타데이터(EXIF)라고 부르며,카메라 기종이나 셔터속도, 조리개 밝기, ISO 등을 포함한다. 조금 더 깊게 파보면 제작사나 제작자 직함, 저작권 상태, GPS 정보,의료용 디지털 영상용 정보 등을 담을 수 있다.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촬영할 때 GPS 기록 여부를 켜기만 하면, GPS 정보를 넣고 나중에다시 볼 수 있다.

삼성 갤럭시의 위치 태그 설정법. 출처=IT동아

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제작사별로 디자인 및 구성, 인터페이스(조작 구성)이 다르며, 같은 제조사도 버전에 따라 설정 방법이 다르다. 다행인점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구글이 제시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준을 충족해야 해, 방법이 달라도 GPS 정보를 사진에 기입하는 것은 다지원한다.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, 카메라 설정에서 위치 태그 기능을 제공한다. 카메라를 켠 후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메뉴로진입한다.

이후 아래에 있는 위치 태그를 활성화하면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는 알림과 함께 위치 서비스가 켜진다. 제조사에 따라 해당 기능을 위치 태그,위치 기록 정보, 위치정보 기록, GPS 활성화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니 확인하고 설정을 켠다.

위치 태그가 걸리면, 사진 및 지도에서 위치 정보를 볼 수 있다.출처=IT동아

이후 촬영된 사진부터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시작한다. 사진 원본과 위치 정보를 볼 수 있는 기기 혹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사진에 드러나지않은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 가장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사진 갤러리를 진입한 다음, 위치 기록을 원하는 사진에서 '상세정보'를 누르면곧바로 아래에 촬영된 장소가 확인된다. 지도를 누르면 스마트폰에 포함된 다른 위치의 사진도 함께 파악할 수 있다.

애플 아이폰의 사진 정보 기록 켜기

애플 아이폰의 위치 서비스 켜기.출처=IT동아

애플 아이폰은 세대 별 하드웨어는 다 다르지만, 소프트웨어인 운영 체제는 모두 iOS로 동일하다. 따라서 아이폰을 활용한 위치 서비스 기록은세대별 차이만 있고, 모두 동일하다. 설정에서 '개인 정보 보호'를 진입한 다음, 위치 서비스를 진입한다. 그다음 위치 서비스를 켜면 사진촬영 시 자동으로 위치 서비스를 기록한다. 만약 위치 서비스가 기록되지 않는다면, 위치 서비스 메뉴 아래에 있는 위치 접근 허용에서,카메라에 대한 위치 접근 허용이 '앱을 사용하는 동안'으로 돼 있는지 확인한다.

사진을 통해 위치 정보나 함께 촬영한 사진을 볼 수 있다.출처=IT동아

설정이 끝나면 이후부터 촬영된 사진에서 위치 정보를 볼 수 있다. 위치 정보가 있는 사진은 상단 중앙에 촬영 장소가 기록되며, 아래로스크롤을 끌어 내려 자세한 장소와 함께 촬영된 사진을 볼 수 있다. 지도를 누르면 촬영된 위치도 함께 볼 수 있다.

사진의 위치 기록, 활용법은 천차만별

GPS 사진의 주소나 위치는 약간의 오차가 있으며, 실내나 건물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진다. 또한, 사진 원본 공유 시 다른 사람이 위치 정보를볼 수 있으며, 위치 서비스 사용에 따른 배터리 소모도 증가한다. 하지만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기억할 수 없을 때 유용하고, 함께 촬영하거나근처에서 찍은 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.

촬영 장소가 낯선 장소라면 기억을 정리할 때 큰 도움이 되며, 긴 시간이 지나 사진을 촬영한 장소를 까먹었을 경우에도 기억을 짚어보는데 도움된다. 아울러 구글 지도나 애플 맵을 통해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연동할 수 있어, 사진 정리에도 유리하다. 개인 정보를 보호할 것인지, 기억정리에 도움을 줄 것인지 선택해 사진의 위치 정보 기록 여부를 결정하길 바란다.

글 / IT동아 남시현 (sh@itdonga.com)


Viewing all articles
Browse latest Browse all 1473

Trending Articles



<script src="https://jsc.adskeeper.com/r/s/rssing.com.1596347.js" async> </script>